-
Spring MVC 개인프로젝트 - #2 이클립스 프로젝트와 깃허브 연동기타/Spring MVC 2021. 3. 18. 17:22
프로젝트 목록 #1 프로로젝트 생성과 마이바티스+오라클 연동 나는 깃허브를 아직 사용한지 얼마되지 않았다
처음에 터미널로 커밋 풀 푸쉬를 하다가 난리도 나고 안되고 며칠을 그렇게 끙끙 앓다가 소스트리라는 툴을 알게되고
조금씩 배워나가는 중!
타 프로젝트를 fork해와서 소스트와 이클립스에 연동해 사용하는 법은 아래 포스팅을 보면 나와있다
2021.03.03 - [분류 전체보기] - 깃허브 저장소 이클립스와 소스트리 연동해 프로젝트 관리하기
깃허브 저장소 이클립스와 소스트리 연동해 프로젝트 관리하기
깃허브를 이용해 처음 팀프로젝트를 해보는데 용어와 사용법이 많아 낯설어서 상당히 삽질을 많이 했다 ㅠㅠ 그래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fork(저장소 카피), pull request(업데이트 확인받기), remote(
ria0617.tistory.com
오늘은 이클립스 프로젝트를 깃허브 저장소와 연동을 해볼 것이다!
1. 일단 이클립스에서 git을 열어준다
설치는 STS를 설치할 때 자동으로 설치 되었을 것이다
2. 저장소를 클론한다
URI 는 깃 저장소를
유저, 패스워드는 깃계정 정보를 적어주면 된다
3. 저장소 위치를 정해준다
(그냥 기본 설정 위치여도 상관은 없다)
이렇게 연결이 되면은 성공!
4. 이제 작업하고 있던 프로젝트를 깃허브에 올려보자!
올릴 로컬 저장소를 선택
5. 그러면 프로젝트 옆에 ? 아이콘이 추가가 되는데 Add to Index를 눌러준다
그러면 물음표가 *표시로 바뀐다
6. 커밋을 해준다
7. 이런 창이 뜨는데 Commit Message는 올라가는 파일에 대한 주석이라고 생각하면 될 것 같다
커밋 앤 푸쉬를 눌러주고
중간에 한 번 로그인 하라고 한다
8. 푸쉬 해주면 올라간다!
이제 깃허브를 보면 프로젝트가 올라간 걸 확인 할 수 있다
사실 이렇게 복잡하게 안해도 된다
소스트리로 연결하고 이클립스로 만들파일 통으로 저장소에 넣어서 소스트리로 올리고
그걸 이클립스에서 내려받으면 오류도 없이 깔끔하다 ㅋㅋㅋ
나는 이걸 다 하고 알았지 ㅜㅜ
'기타 > Spring MVC'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ring MVC 개인프로젝트 - #1 프로로젝트 생성과 마이바티스+오라클 연동 (0) 2021.03.18 스프링 - 컨트롤러를 이용해 view jsp 페이지를 여는 방법 (0) 2021.02.03 스프링 namespace 목록 (2) 2021.01.26